SKT 해지 위약금 면제 조건 및 절차


SK텔레콤(SKT)을 이용하다가 계약을 해지하려고 할 때, 약정 기간이 남아 있다면 위약금(할인 반환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위약금을 면제받거나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2025년 SKT 유심 해킹 사태로 인해 위약금 면제와 관련된 논의가 뜨겁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SKT 해지 위약금 면제 조건, 절차, 그리고 주의사항을 2025년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정리해드립니다.


1. SKT 위약금이란?


SKT의 위약금은 약정 기간 동안 요금 할인(선택약정)이나 단말기 지원금(공시지원금)을 받은 고객이 약정 기간을 채우지 않고 해지하거나 통신사를 변경할 때, 받은 혜택의 일부를 반환하는 형태의 비용입니다. 예를 들어:


  • 선택약정 위약금: 월 요금의 25% 할인을 받았다면, 남은 약정 기간 동안의 할인 금액을 기준으로 위약금이 계산됩니다.

  • 공시지원금 위약금: 단말기 구매 시 지원금을 받았다면, 남은 약정 기간에 비례해 지원금의 일부를 반환해야 합니다.

  • 단말기 할부금: 위약금과 별개로, 단말기 할부금이 남아 있다면 해지 시 일시불로 납부하거나 분할 납부를 계속해야 합니다.


위약금은 고객의 약정 조건, 요금제, 사용 기간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해지 전 정확한 금액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SKT 위약금 면제 조건



SKT 이용약관과 2025년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위약금을 면제받을 수 있는 주요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2.1. 회사의 귀책 사유

SKT 이용약관 제44조 1항 4호에 따르면, 회사의 귀책 사유로 인해 계약이 해지될 경우 위약금이 면제됩니다. 2025년 4월 유심 해킹 사태로 인해 SKT의 보안 문제로 계약을 해지하려는 고객은 이 조항에 따라 위약금 면제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 2025년 SKT 유심 해킹 사태 관련:
    SKT는 유심 정보 유출로 인해 고객의 개인정보 보호에 실패한 책임이 인정될 경우 위약금 면제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5년 7월 4일, SKT가 위약금 면제를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이를 따르지 않을 경우 시정명령 등 행정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특히 4월 18일 기준 SKT 고객이었고, 4월 19일부터 7월 14일까지 해지한 고객은 위약금 환급 대상에 포함됩니다.

2.2. 통화 품질 불량

신규 가입 후 14일 이내 통화 품질 불량으로 해지할 경우, 단말기 상태에 따라 위약금의 전부 또는 일부가 면제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통화 품질 문제를 입증할 수 있는 자료(예: 통화 끊김 기록)를 제출해야 할 수 있습니다.


2.3. 고객의 특수 상황

다음과 같은 개인적 사유로 해지 시 위약금이 면제될 수 있습니다:

  • 고객의 사망: 사망진단서를 제출하면 위약금이 면제됩니다.
  • 이민: 이민 관련 서류를 제출하면 면제 가능.
  • 군입대 또는 사회복무: 관련 증명서를 제출하면 위약금이 면제될 수 있습니다.

2.4. 장기 고객 및 특정 계층 우대

SKT는 10년 이상 장기 고객, 고령자(65세 이상),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위약금 감면 정책을 일부 적용하고 있습니다. 고객센터(1599-0011 또는 114)로 문의하면 추가 혜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5. 약정 만료 직전 해지

약정 종료일 당일에 해지하면 위약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약정 종료일은 T월드 앱 또는 고객센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약정 종료일 전날과 당일의 위약금 차이가 크므로, 정확한 날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위약금 조회 방법


위약금을 면제받기 전에 예상 위약금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KT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위약금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 T월드 앱:
    1) T월드 앱에 로그인합니다.
    2) [마이페이지 → 나의 가입정보 → 해지 시 예상 비용] 메뉴에서 공시지원금 위약금, 선택약정 위약금, 단말기 할부금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고객센터: SKT 고객센터(114 또는 1599-0011)로 전화하여 예상 위약금을 문의하세요.


  • T월드 홈페이지: www.tworld.co.kr에서 로그인 후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주의사항: 위약금은 실시간으로 변동될 수 있으므로, 해지 직전에 다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약금 조회하기


4. 해지 절차


SKT 서비스 해지를 위해서는 다음 절차를 따르세요:


1. 본인 확인:
고객센터(080-816-2000 무료, 1599-0011 유료)로 전화하거나 T월드 매장을 방문하여 본인 확인을 진행합니다. 본인 확인이 어려운 경우, 신분증 앞면을 팩스로 보내야 할 수 있습니다(주민등록번호 뒷자리 가림)


2. 요금 완납:
해지 시점 30분 전까지 모든 미납 요금을 완납해야 합니다. 국제전화 요금, 수신자 부담 서비스 요금 등은 별도로 청구될 수 있습니다.


3. 위약금 환급 신청(해킹 사태 관련):
2025년 4월 19일부터 7월 14일 사이에 해지한 고객은 위약금 환급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환급 신청은 7월 15일 이후 T월드 홈페이지 또는 고객센터를 통해 가능합니다.


4. 번호이동 시 유의사항:
타 통신사로 번호이동 시, SKT는 자동 해지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SKT에 해지 신청을 해야 합니다. 또한, 번호이동 사은품이 위약금보다 클 경우 실질적인 손해를 줄일 수 있으니 사은품 조건을 확인하세요.


해지 바로가기


5. 주의사항


    • 위약금과 단말기 할부금은 별개: 위약금이 면제되더라도 단말기 할부금은 계속 납부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일시불 납부가 어려운 경우, 분할 납부를 요청하세요.


    • 해킹 사태 관련 제한: 위약금 환급은 4월 19일~7월 14일 사이 해지 고객에 한정되며, 특수 목적 IoT 회선이나 직권 해지 회선은 제외됩니다.


    • 사기 주의: 미환급금 환불 사칭 사기가 빈번하니, SKT 공식 홈페이지(www.tworld.co.kr)나 고객센터를 통해서만 조회 및 신청하세요.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