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전기차 보조금 계산 방법을 아래에 정리했습니다.
전기차 보조금은 국고 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으로 구성되며, 차량 가격, 성능, 배터리 안전성, 제조사 인프라 등 여러 요소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래는 계산 과정과 주요 기준을 단계별로 설명한 내용입니다. (「2025년 전기자동차 보급사업 보조금 업무처리지침」및 관련 자료 기반)
1. 국고 보조금 계산 방법
국고 보조금은 차량의 가격, 성능, 배터리 안전성, 제조사 관련 요건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최대 보조금은 중·대형 승용차 기준 약 580만 원으로 축소되었습니다. (2024년 650만 원에서 70만 원 감소)
(1) 차량 가격에 따른 기본 보조금
- 5,300만 원 이하: 국고 보조금 100% 지급
- 5,300만 원 ~ 6,500만 원: 국고 보조금 50% 지급
- 6,500만 원 초과: 보조금 미지급
- 참고: 차량 가격은 개별소비세 등 세제 혜택 적용 전 기준이며, 옵션 포함 가격으로 계산
(2) 성능 보조금
-
1회 충전 주행거리:
· 440km 이상: 최대 보조금
· 440km 미만: 주행거리에 따라 감액(예: 400~440km는 약 10~20% 감소)
-
에너지 효율: 1kWh당 주행거리(Wh/km)에 따라 계수 적용
· 예: 1등급(효율 높음) 1.0, 5등급(효율 낮음) 0.6
(3) 배터리 안전 보조금
- 기본 요건: 차량 정보수집 장치(OBD II) 탑재 시 20만 원 추가
-
2025년 추가 요건
· 배터리 상태 정보 제공(BMS): 15만 원
· 주차 중 이상 감지 알림(BMS 알림): 15만 원
· 최대: 50만 원 추가
(4) 배터리 관련 계수
-
배터리 효율 계수
· 에너지 밀도(Wh/L)에 따라 1~5등급으로 나뉨
· 1등급(500Wh/L 초과): 계수 1.0
· 5등급(365Wh/L 이하): 계수 0.6
-
배터리 환경성 계수:
· 유가금속(니켈, 코발트 등) 재활용 가치에 따라 등급화
·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는 재활용 가치가 낮아 보조금 감액(예: 테슬라 모델 Y RWD, 2024년 514만 원 → 2025년 195만 원)
(5) 제조사 관련 보조금
-
사후관리 계수:
· 전국 권역(서울, 경기·인천, 강원, 충청, 영남, 호남, 제주)에 직영 AS 센터 운영 시 최대 계수 1.0
· 현대·기아는 1등급, 일부 수입차는 낮은 등급으로 감액
-
보급 목표 이행 보조금:
· 제조사가 연간 보급 목표 달성 시 추가 지원(최대 50만 원)
-
충전 인프라 보조금: 제조사가 급속충전기 설치 기여도에 따라
추가 지원
· 100기 이상: 20만 원
· 200기 이상: 40만 원
-
혁신기술 보조금:
· 고속 충전(50kW 단위 세분화) 지원 시 최대 50만 원
· V2L(Vehicle-to-Load) 기능은 2025년 기준 제외
(6) 제조사 할인 연계 추가 보조금
-
제조사 할인액에 따라 추가 보조금 제공(2025년 4월 정책 기준):
· 0~500만 원 할인: 30% 추가
· 500~700만 원 할인: 50% 추가
· 700만 원 이상 할인: 80% 추가
· 예: 폭스바겐 ID.4가 950만 원 할인 시, 추가 보조금 760만 원(80%) 가능
(7) 국고 보조금 계산 공식
국고 보조금 = (성능 보조금 + 배터리 안전 보조금) × (배터리 효율 계수 × 배터리 환경성 계수 × 사후관리 계수) + 보급 목표 이행 보조금 + 충전 인프라 보조금 + 혁신기술 보조금 + 제조사 할인 연계 보조금 |
- 성능 보조금: 중·대형 최대 400만 원, 중·소형 최대 300만 원
- 최대 인센티브: 약 230만 원(충전 인프라, 혁신기술 등 포함)
-
예시: 현대 아이오닉 6 롱레인지(5,300만 원 이하, 440km 이상
주행, 1등급 배터리, 현대 AS 1등급)
· 성능 보조금: 400만 원
· 배터리 안전 보조금: 50만 원(OBD II + BMS + BMS 알림)
· 계수: 효율 1.0 × 환경성 1.0 × 사후관리 1.0 = 1.0
· 추가 보조금: 보급 목표 50만 원 + 충전 인프라 40만 원 + 혁신기술 50만 원
· 총 국고 보조금: 약 580만 원(할인 연계 제외)
2. 지자체 보조금
- 지자체 보조금은 지역마다 다르며, 국비와 별도로 지급
-
예시 금액
· 서울특별시: 60만 원
· 부산 280만 원
· 대구 250만 원 · 인천 230만 원 · 경기도 200만~484만 원 - 확인 방법: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지역별/차종별 보조금 조회
- 조기 소진 주의: 서울·경기 등은 3~4월 중 예산 소진 가능
⭐ 지자체 추가 인센티브
- 소상공인: 국비의 30% 추가
- 차상위 이하 계층: 국비의 30% 추가
- 농업인: 국비의 10% 추가
- 택배용 전기화물차: 출고 후 6개월간 택배업 허가 유지 시 국비의 10% 추가
- BMS 미업데이트 차량 폐차 후 신차 구매: 추가 보조금(지자체 기준 상이)
3. 차종별 보조금 예시
2025년 차종별 국고 보조금(참고용, 정확한 금액은 www.ev.or.kr 확인)
- 현대 아이오닉 6 롱레인지: 약 580만 원(국비) + 지자체 보조금(예: 서울 150만 원) = 약 730만 원
- 기아 EV6: 약 600~700만 원(국비) + 지자체 보조금
- 폭스바겐 ID.4: 약 492만 원(국비) + 지자체 보조금(예: 거창군 862만 원) = 약 1,354만 원
- 테슬라 모델 Y RWD: 약 195만 원(국비, LFP 배터리 감액) + 지자체 보조금
4. 계산 예시
⭐ 상황: 경기도 수원시에 거주하는 소상공인이 현대 아이오닉 6 롱레인지(가격 5,200만 원, 주행거리 440km, 1등급 배터리, BMS 탑재)를 구매
(1) 국고 보조금
- 차량 가격 5,300만 원 이하 → 100% 지원
- 성능 보조금: 400만 원
- 배터리 안전 보조금: 50만 원
- 계수: 효율 1.0 × 환경성 1.0 × 사후관리 1.0 = 1.0
- 추가 보조금: 보급 목표 50만 원 + 충전 인프라 40만 원 + 혁신기술 50만 원
- 소계: 400 + 50 + 50 + 40 + 50 = 590만 원
- 제조사 할인 500만 원 가정 시: 50% 추가 → 295만 원
- 총 국고 보조금: 590 + 295 = 885만 원
(2) 지자체 보조금
- 수원시: 약 250만 원
- 소상공인 추가: 885 × 30% = 약 265만 원
- 총 지자체 보조금: 250 + 265 = 515만 원
(3) 최종 보조금: 885 + 515 = 1,400만 원
(4) 결과: 차량 실구매가 = 5,200만 원 - 1,400만 원 = 약 3,800만 원
Tags:
money